당신의 헬멧은 안전한가요? 헬멧 규격 테스트

    라이더의 가장 기초적인 안전장구. 유통 중인 헬멧 중 안전이 취약해 보이는 모델들을 선정, 직접 테스트 과정을 경험해보았다.

    HELMET REGULATION TEST

    그래서 직접 깨 보았다

    헬멧의 중요성은 모터바이크 독자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기초 중에 기초 상식이다.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 조사결과에 따르면 헬멧 사용 시 사망은 37%, 뇌손상은 67%의 예방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번 테스트의 목적은 두 가지다. 첫째로 헬멧의 안전 인증이 어떠한 절차로 진행되는지를 확인하는 것과 과연 시장에서 판매되는 헬멧들이 진짜 안전한가에 대한 궁금증 해결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모든 헬멧을 직접 테스트해보면 가장 좋겠지만 이번 테스트는 헬멧 중 안전이 취약해 보이는 제품들을 선정해 테스트를 진행했다. 시장에서 많이 팔리는 저가 오픈제트 헬멧과 인증을 받고 판매중인 클래식 헬멧, 그리고 미인증 상태에서 일반 장식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클래식 오픈페이스 헬멧을 테스트 샘플로 선정했다. 이번 테스트는 HJC헬멧 규격 테스트실의 협조를 통해서 진행되었다. 테스트 방식은 국내 KC인증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충격테스트는 실제 KCL과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했다. 사이즈는 전 모델 L사이즈로만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제품 편차 가능성이 있어 각 모델 당 2개의 표본으로 테스트에 사용했다. 테스트 표본은 업체 제공이 아닌 소비자가 실제로 구매 할 수 있는 것을 가정해 모터바이크 편집부가 직접 소매점에서 구매한 것으로 진행했다. 예외로 HJC V30 헬멧은 HJC가 이번 테스트에서 클래식 헬멧에 대한 기준으로 삼기위해 제공한 것을 사용했다. 실험은 실제 테스트방식과 동일하고 공정하게 진행했음을 밝힌다.

    충격흡수성 테스트

    헬멧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을 위한 테스트. 내부 가속도계 센서에 씌워진 헬멧이 자유낙하하며 충격을 얼마나 흡수하는지 확인한다. 각 인증 규격에 따라 테스트 기준이 조금씩 다른데 우리나라의 KC기준은 1m77cm에서 자유낙하하며 6.0m/s(시속 환산 시 21.6km/h)의 속도로 충돌하는 상황을 테스트 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동일한 부위에 두 번의 테스트를 해 2차 충격 시 충격흡수량도 체크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멧의 충격흡수를 위한 EPS는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한번 충격을 받은 부분은 충격흡수효과가 떨어진다. 동일한 방법으로 헬멧의 정면, 측면, 후면으로 세 번 테스트를 진행한다.

    내관통성 테스트

    원뿔모양의 추를 낙하시켜 관통여부를 테스트한다. 사고 시 돌출된 부분과 충돌 시를 가정한 테스트다. 헬멧이 관통되면 전기적 접촉이 발생하는 것으로 기준으로 삼기도 하지만 실제 관통 시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유럽의 ECE 규격의 경우 이 내관통 시험이 없기 때문에 유럽 브랜드 헬멧 중 국내 인증 테스트에서 불합격 하는 경우가 있다. 상온 테스트와 고온 테스트, 저온 테스트 모두 진행하였다.

    턱걸이 끈 강도 테스트

    헬멧이 사고 시 제 역할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일단 충격 전 까지 머리에 제대로 씌워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턱걸이 끈이다. 강도 테스트는 턱걸이 끈을 맨 상태로 하단으로 힘을 가하는데 이때 25mm이상 늘어나면 안 된다. 끈과 헬멧의 연결부위가 떨어지거나 손상되어도 탈락이다.

    /

    TEST RESULT

    HJC 헬멧 규격 테스트실에서 테스트 결과제공

    1. 저가형 오픈제트 헬멧

    주목할 점은 두 개의 샘플의 결과차이다. 두 번째 샘플 헬멧의 EPS 밀도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무른 EPS가 첫 충격은 잘 흡수하지만 두 번째 충격은 걸러주지 못한다. 같은 이유로 관통 실험 역시 통과하지 못했다. 인증을 받은 제품이자 같은 판매처에서 함께 구입한 두 제품 간의 개체차가 이렇게 크다는 것에 놀랍다.

    2. KC인증 클래식 헬멧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클래식 헬멧으로 KC인증을 획득한 제품인 만큼 충격흡수를 제대로 해주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비슷비슷해 보이는 클래식 헬멧도 인증 제품을 확인하고 써야하는 근본적인 이유를 보여주는 결과물이다.

    3. 미인증 클래식 헬멧

    얇은 EPS는 1차 충격은 받아주지만 2차 충격에는 갑자기 무기력한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관통실험에서는 고온 내관통성 테스트에서 관통되어 버리며 내열성이 부족한 모습으로 수지의 품질과 두께가 기준치보다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제품을 헬멧으로 사용할 경우 이 충격이 고스란히 라이더에게 전달된다고 생각하면 아찔하다.

    4. HJC V30

    V30 헬멧은 결과 인증 결과가 허용범위 내에 머무르며 합격 기준을 충족시켰다. 다만 테스트 결과에서 수치가 기대보다는 낮지 않게 나왔는데 이는 헬멧 내부에 썬실드를 내장하는 방식은 해당 구조의 두께만큼 EPS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지기 때문이다.

    /

    안전은 타협할 수 없다

    테스트 결과 저가형 오픈제트 헬멧으로 선정된 제품은 샘플 중 하나가 충격 테스트와 내관통 테스트에서 모두를 탈락 점수를 받아 인증 제품에 대한 품질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국내 인증 후 관리 체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미인증 헬멧의 테스트를 통해 작은 사이즈의, 일명 소두핏을 자랑하는 헬멧들이 왜 인증을 통과하기 어려운지 수치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제품의 제조사는 해당 제품이 모터사이클 헬멧이 아닌 장식품이라고 판매하며 책임을 회피하며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제품 박스에는 브랜드 로고와 함께 큼지막하게 헬멧이라고 쓰여 있고 검색해보면 많은 라이더들이 바이크를 탈 때 해당 헬멧을 착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니 그야말로 눈가리고 아웅이 아닐 수 없다.

    HJC규격 테스트실

    이번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었던 것은 HJC 헬멧의 규격테스트실의 적극적인 협조 덕분이다. HJC헬멧은 이 규격테스트실을 통해 전 세계의 다양한 규격에 맞춰 테스트를 진행해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국내 KCL(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규격테스트와 동일한 기준에서 테스트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기도 하다. 제품 개발 테스트로 빠듯한 일정에도 취재에 협조해준 규격테스트 연구원들에게 감사인사를 전한다.

    /

    세계의 주요 헬멧 규격

    [SOUTH KOREA]

    KC 안전 확인
    제조자 또는 수입자가 출고 또는 통관 전 모델별로 KCL(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테스트를 받아 기준에 적합함을 확인한 후 안전 인증기관에 신고한 뒤 인증번호를 발급한다. 헬멧 사이즈별로 인증을 따로 받아야하며 바이저(실드)도 인증이 별도로 필요하다. 내부에 2중의 썬실드 장착 제품의 경우 이 또한 별도의 인증대상이며 스모크와 미러 등 유색제품은 따로 인증이 필요하다. 인증시험 합격 후 실제 판매제품과 인증샘플간의 일치성 여부에 대한 필터링 시스템이 미비한 것이 단점이다.

    [U.S.A]

    DOT
    FMVSS No.218 라이더에게는 DOT로 유명하다. 별도의 인증기관 없이 제조사의 자가 인증방식을 사용한다. 다만 이후 시장에 판매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정기적으로 랜덤 샘플링 테스트를 진행한다. 겉으로 보기에는 규제가 약해보이지만 만약 부적합 제품으로 인한 피해 발생 시 제조물 책임법에 의해 큰 배상을 해야하기 때문에 미국 내에서는 제대로 지키지 않고 판매하긴 힘들다. 하지만 이는 결국 DOT로고를 부착한 뒤 미국 내에서 판매하지 않으면 어떠한 검사도 받지 않기 때문에 미국 이외의 국가에서는 DOT 로고만 믿고 구매하면 안 된다.

    SNELL
    미국 스넬재단을 통해 관리되는 별도의 안전기준. 스넬 재단은 1957년 사망한 피터스넬의 죽음을 기리는 단체로 시작된 비영리단체다. 별도의 인증번호가 부여되며 랜덤 샘플링 테스트가 분기별 1회 적용된다. 설립 목적과 높은 기준으로 한때는 안전한 헬멧의 상징으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일부모델을 제외하고는 SNELL 인증을 패싱하고 있어 기준으로 삼기 어려워졌다.

    [Japan]

    SG 안전규격
    사용자의 생명, 신체에 대한 위해가 우려되는 제품에 대해 안전기준을 정하고 테스트를 통해 이에 적합하지 않은 제품은 판매를 규제한다. 모델 인증 유효기간은 3년이며 인증번호는 발급되지 않고 SG 마크만 제공된다.

    [Europe]

    ECE 22.06
    UNECE에서 제정한 유럽연합의 통합 헬멧규격. 인증번호 발급 및 배치검사를 통해 품질을 꾸준히 모니터링 한다. 모델별로 인증을 실시하고 실험실과 공장 등의 시스템인증으로 자체 배치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갖추지 못하면 인증기관에서 배치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턱강도 시험과 벗김성 테스트 등 강화 된 테스트 기준이 있다.

    /

    각국의 헬멧 규격은 요구사항과 테스트 조건, 판정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어떠한 규격의 헬멧이 더 안전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 규격들이 존재하는 공통된 이유는 단 한 가지, 바로 ‘라이더의 안전’이다. 이 규격들은 그 안전을 위한 아주 최소한의 기준이므로 이것을 지켜야 비로소 헬멧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


    글/사진 양현용
    취재협조 HJC헬멧 규격테스트실

    본 기사를 블로그, 커뮤니티 홈페이지 등에 기사를 재편집하거나 출처를 밝히지 않을 경우, 그 책임을 묻게 되며 이에 따른 불이익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웹사이트 내 모든 컨텐츠의 소유는 모토라보에 있습니다.

    지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