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래스 최강자의 자리를 노린다
야마하 NMAX 125
고 수준의 기술로 빚은 블루코어 엔진은 효율성과 내구성 모두를 잡았고 ABS를 기본으로 장착해 125cc 클래스의 최강자의 자리를 노린다. NMAX의 등장으로 125cc 스쿠터 왕좌의 게임은 다시 박빙의 승부를 치르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치열한 125cc 스쿠터 전장에 야마하 NMAX 125가 정식으로 출사표를 던졌다. TMAX 시리즈와 닮은 직선미와 곡선미를 효과적으로 연출한 차체는 슬림하면서도 우아하다. 새롭게 설계한 블루코어 엔진은 최고급 바이크에 적용되었던 기술력을 125cc라는 작은 엔진에 적용하여 동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연소효율과 냉각 성능 모두를 다듬었다.
가변 밸브 타이밍 시스템(VVA)의 채용은 중저속 영역과 고속 영역 모두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여기에 ABS 표준 장비는 그동안 125cc 클래스 스쿠터에는 흔치 않은 설정이다. 잘 달리고 잘 서는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개성적이고 스타일리시한 디자인까지 이만하면 타보기 전에 이미 합격점이다.
완성도 높은 디자인
전체적으로 슬림하고 잘 빠진 몸매가 인상적이다. 페어 링 전체에서 면을 넓게 잡기보다는 선과 각을 효과적으로 사용해 입체적이면서도 날렵한 디자인을 연출했다. 플로어 패널 없이 센터돔으로 연결되는 스타일은 맥시 스쿠터를 닮아있다. 유선형의 날렵한 몸매는 마치 돌고래를 보는 듯 매끈하다.
V라인의 프런트 마스크로 날렵하고 뚜렷한 개성을 표현한다. 헤드램프는 LED가 기본으로 채용되며 점등 시 2구의 램프가 강렬하게 눈을 뜬다. 상향등은 중앙의 램프가 켜지는 타입이다. 턴 시그널 램프는 프런트 사이드 페어링에 매립되어있는데 램프 커버의 디테일이 광량을 면 전체로 확장시켜 시인성이 높다.
계기반과 핸들바의 야마하 로고, 키 박스와 주유구 캡까지 네 개의 동그라미가 가운데 정렬하여 나란히 배치된 것이 재미있기도 하고, 세밀하게 신경 쓴 티가 난다. 디테일 요소와 전체적인 디자인 모두 클래스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디자인 완성도에서 만족스러운 점수를 줄 수 있다.
효율성을 높인 블루코어 엔진
NMAX 125의 핵심은 엔진이다. 최고급 바이크에 적용되었던 최신의 기술을 적용해 125cc 작은 엔진에 담아냈다. 동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연소효율과 고효율 냉각 성능을 실현하는 데에 개발 목적을 두었다.
연소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가변 밸브 타이밍 시스템(VVA)을 채용 한 것이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125cc 클래스에서는 정해진 출력을 중저속 영역이나 고속 영역 등 특정 영역에 맞춰 세팅하게 된다. 그래서 중저속 출력 특성에 세팅을 맞추면 고속의 힘이 약하 고, 고속 세팅을 하면 중저속 토크가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가변 타이밍 흡배기 밸브 캠 샤프트를 적용하여 중저속 토크를 강조한 저속 캠과 고회전 출력 위주의 고속 캠이 6000rpm을 기준으로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때문에 저속과 고속에 걸친 전 영역에서 고르게 토크가 분포하여 안정적인 출력을 느낄 수 있다. 흡배기 밸브 형상과 배치, 인젝션 세팅, 실린더 내부 와류, 연소실의 크기 등 각 요소를 최적화·최대화 시켜 125cc의 배기량 한계 내에서 최대한의 연소 효율을 끌어냈다.
이런 기술은 고배기량 대형 바이크에서는 이미 적용되고 있는 기술이라 어쩌면 당연해 보일 수도 있지만, 125cc 소형 스쿠터 엔진에 접목 시켰다는 점은 꽤나 주목할 만하다
또한 동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크랭크축에서 7mm 벗어난 오프셋 실린더를 적용하여 피스톤 운동 저항을 최소화했으며, 롤러 로커암을 채용 및 신설계된 제네레이터(ACM)를 적용했다. 냉각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서 실린더 내벽을 DiASil 도금 처리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내열성과 냉각성을 확보했다. 바이패스 서모스텟은 냉각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며, 라디에이터를 측면으로 배치하여 효율성을 높였다.
이로써 공식 발표 기준 리터당 45.2km라는 연비를 실현하면서도 전 회전 영역에 걸친 꾸준하고 안정적인 퍼포먼스를 실현했다. 이런 기술은 고배기량 대형 바이크에서는 이미 적용되고 있는 기술이라 어쩌면 당연해 보일 수도 있지만, 125cc 소형 스쿠터 엔진에 접목 시켰다는 점은 꽤나 주목할 만하다.
만족스러운 주행성능
시동을 걸면 매끄럽게 엔진이 돈다. 아이들링 시에는 약간의 잔 진동이 있지만 주행을 시작하면 어느새 진동은 사라지고 부드러운 회전 감각만 남는다. 스로틀을 전개하면 초반 60km/h까지 매끈하고 안정적으로 도로를 밀고 나가는데, 125cc 급에서 느낄 수 있는 적절하지만 최대치의 가속감과 안정감이다. 저속에서도 만족스러운 토크를 느낄 수 있다. 특히 경사로에서 정차 후 출발 시에도 탄탄하게 구동이 전달되며 쉽게 언덕길을 오를 수 있었다. 고속 영역에서는 부드럽고 매끈하게 엔진이 돌면서 안정적이고 여유로운 크루징이 가능했다.
최고속은 계기반상 120km/h까지 확인했는데 100km/ h 이상에서는 확실히 쥐어짜내는 인상이 있긴 하지만 동급에 비교했을 때 고속주행 스트레스는 적다. 주 무대가 도심이라고 가정한다면 운용 가용 범위 내에서는 충분히 넉넉한 출력으로 어느 상황이든 적절히 대처할 수 있었다. 브레이크 시스템 역시 만족스럽다. 전후 휠에 적용된 230mm 대구경 디스크 로터는 응답성과 제동력 모두 안정감 있다.
주목할 만한 사항은 역시 동급 최초로 적용된 ABS 표준 장비. 급브레이크 상황에서 안심감이 크다. 서스펜션의 경우 프런트에는 정립식 텔레스코픽 서스펜션을 리어에는 더블 쇽업소버를 채용한다. 동급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설정으로 전반적인 도로 상황에서 부드럽게 반응했다. 조금 무른 느낌이 있긴 했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 딱히 불편함을 느낄만한 설정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왕좌의 게임
NMAX 125는 125cc 한계 배기량 내에서 고효율·고성능 을 실현하여 출력 면에서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했고, 출퇴근은 물론 주말에는 근거리 투어 역시 도전해봄직하다. ABS가 기본 장착된 브레이크 시스템은 안전이 중시되는 시대로의 변화에 대응한다. 여기에 스타일리시한 디자인으로 일상생활에서 가벼운 복장의 라이더도, 출퇴근 복장을 하더라도 이질감 없이 어울린다.
그동안 이 클래스에서 최강자를 꼽으라면 누구라도 혼다의 PCX 125를 꼽았을 것이다. 부족함 없는 출력과 높은 연비, 아이들링 스톱 기능과 전후 연동 브레이크 시스템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키를 더해 베스트셀러의 입지를 굳혔다. 하지만 고효율·고성능 블루코어 엔진 탑재와 ABS 시스템으로 무장한 NMAX 125라는 도전자가 등장했다. 천적의 존재가 진화의 씨앗이 되는 것이 자연의 이치, 이 둘의 진검승부의 결과가 기대된다.
credit
글 이민우 수석기자
사진 양현용
취재협조 한국모터트레이딩 www.ysk.co.kr
본 기사를 블로그, 커뮤니티, 웹사이트 등에 기사를 재편집하거나 출처를 밝히지 않을 경우, 그 책임을 뭍게 되며 이에 따른 불이익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웹사이트 내 모든 컨텐츠의 소유는 모토라보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