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TORCYCLE T.M.I
Vol.04
EXHAUST SYSTEM
많은 라이더들이 배기음 변화와 출력의 상승 혹은 드레스업 효과를 기대하며 머플러를 튜닝한다. 애프터 마켓에 다양한 머플러가 판매되고 있지만 브랜드의 역사와 기술은 관심 밖. 배기 시스템의 구조와 대표적인 브랜드의 역사, 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머플러(Muffler)는 엔진의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시스템의 일부로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소음기라는 뜻의 사일렌서(Silence)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머플러의 영국식 표현이다. 양산 바이크에 장착되는 머플러는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최대한 소음을 줄인다. 소음을 줄이기 위해 머플러 내부의 구조를 복잡하게 설계하는데 이는 배기의 흐름에 저항을 만들고 결국 엔진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라이더들은 조금 더 좋은 배기음과 출력의 향상을 기대하며 애프터 마켓의 머플러를 구입해 장착한다. 바이크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머플러를 튜닝하면 ‘머플러를 업그레이드한다’라고 표현하는데 따지고 보면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엔진 출력을 높이기 위해 머플러를 튜닝하면 소음이 커지기 마련이니 사실 머플러의 성능은 저하되는 것이다.
머플러 소재
배기 파이프와 머플러는 기본적으로 소량의 탄소를 섞은 연강(Mild Steel)로 제작된다. 탄소강은 강철이 공기와 만나 부식되는 것은 막아주어 오랫동안 배기 시스템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도로를 주행하며 묻는 미네랄 성분과 배기 과정에서 나오는 수분에 의해 쉽게 부식된다. 따라서 가열되면 크롬 성분이 보호막을 형성하는 성질이 있는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재 대부분의 애프터마켓 배기 시스템 파츠들은 스테인리스 스틸을 기본 재료로 사용한다. 추가적으로 내부식성을 높이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을 코팅재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 밖에도 고급 소재로 티타늄 합금이 사용된다. 티타늄은 반응성이 강해 산소와 만나면 산화티타늄의 얇은 막을 형성한다. 산화가 끝나면 내식성이 강해지는 특징이 있다. 또 질량 대비 강도가 가장 강한 금속으로 마일드 스틸만큼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무게는 절반이나 줄일 수 있다. 또 높은 온도에서 반응이 일어나면서 무지갯빛으로 색이 변한다. 배기 파이프와 머플러가 이렇게 변하면 스포티한 고성능의 느낌을 주기 때문에 많은 라이더들이 티타늄 합금 소재의 머플러를 선호한다.
머플러 브랜드
모터바이크 배기 시스템은 레이스와 함께 발전했다. 슈퍼 바이크부터 엔듀로, 랠리까지 엔진의 출력을 100% 발휘하기 위해선 배기 시스템이 중요했기 때문이다. 이런 흐름 속에서 자연스레 배기 시스템 브랜드가 탄생하기 시작했다. 레이스 우승이라는 타이틀은 라이더들의 로망을 자극했고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했다. 세계 레이스 대회에서 활약하는 대표적인 배기 시스템 브랜드에 대해 알아보자.
국가 슬로베니아
창립 1990년
창립자 이고르 아크라포비치
이고르 아크라포비치는 레이스 선수였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머플러 브랜드 스콜피온을 창립한다. 스콜피온은 1994년부터 레이스 대회에 등장하기 시작했고 1997년 아크라포비치로 이름을 바꾼다. 그리고 2000년 아크라포비치 배기 시스템을 장착한 캐스트롤 혼다 SP-01머신이 WSBK에서 우승하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2002년부터는 모토GP의 혼다, 가와사키 그리고 아프릴리아 팩토리 팀과 계약을 맺으며 최강의 레이스라고 불리는 GP에 데뷔한다. 그 이후는 우리 모두가 알고 있듯 급성장하며 많은 레이스팀이 아크라포비치를 사용 중이며 브랜드와 팀에서 순정 튜닝품으로 사용하게 된다.
국가 이탈리아
창립 2005년
창립자 스테파노 라바짜, 마르코 데 로시
2005년 설립된 SC 프로젝트는 레이스에 공격적인 투자를 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성능은 말로 설명하고 기술을 자랑하기보다 레이스 성적으로 보일 때 그 효과가 더 크다. SC 프로젝트는 지난해 모토GP에서 우승한 마크 마르케즈의 머신에 사용되며 주목을 받았고 올해 렙솔 혼다 팀과 계약을 맺었다.
국가 이탈리아
창립 1985년
창립자 조르지오 지아넬리
애로우는 5번의 세계 모토 크로스 챔피언 타이틀을 갖고 있는 벨기에의 모터크로스 선수 조르주 조비가 1987년 500cc 월드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거두며 유명해졌다. 애로우 배기 시스템은 파리-다카르 랠리에서 테스트된 엔듀로 머신들에 사용되기도 했으며 1999부터 2006년까지 MX500 세계 챔피언십 우승 머신에 장착되었다. 오프로드 시장뿐 아니라 2000년 이후부터 모토GP와 WSBK 등 로드 레이스에도 참전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트라이엄프에서 발표한 모토2 머신에도 애로우 머플러가 장착되기도 했다.
국가 이탈리아
창립 1969년
창립자 루이지 떼르미뇨니
떼르미뇨니는 설립 당시 배기 시스템뿐 아니라 4스트로크 엔진을 제작했다. 1970년 떼르미뇨니는 가와사키 스포츠 바이크 모델과 배기 시스템 생산에 협력하기도 했다. 1970년대 말 떼르미뇨니는 최초의 알루미늄 머플러를 제작하고 이 제품은 파리-다카르 랠리에 사용되었다. 80년대에는 두카티, 혼다와 계약을 맺었고 레이스에 참가해 기술과 명성을 높였다. 떼르미뇨니 배기 시스템은 성능으로도 유명하지만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많은 사랑을 받는다. 특히 두카티의 유려한 디자인과 좋은 궁합으로 멋진 실루엣을 완성한다.
국가 일본
창립 1954년
창립자 히데오 요시무라
2차 세계 대전 당시 항공기 정비사로 근무했던 히데오 요시무라는 전쟁이 끝난 후 주일미군의 바이크 튜닝을 시작한다. 미군 사이에서 이름을 알린 그는 1954년 요시무라 모터스를 설립한다. 그는 1973년 로스앤젤레스로 사업을 확장한다. 요시무라는 스즈키와 협력을 맺으며 레이스에서 이름을 알린다. 1978년 데이토나 슈퍼바이크 레이스와 스즈카 8시간 내구레이스에서 우승했다. 이후 1980년 미국의 스즈키 팩토리 레이싱 팀과 계약을 맺었고 세계에서 가장 큰 애프터마켓 배기 시스템 업체로 성장했다. 요시무라는 머플러뿐 아니라 엔진 피스톤과 개스킷, 전자 장비와 각종 파츠, 레이스 키트 등을 판매한다.
배기 시스템
엔진이 한 번의 행정을 마치면 연소가스가 발생한다. 연소가스가 엔진에서 방출되지 않으면 엔진 내부의 압력이 증가해 열이 발생하고 효율이 떨어진다. 배기 시스템은 이 연소가스를 대기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배기 시스템은 차량마다 다르지만 배기 매니폴드와 배기 파이프, 촉매 컨버터와 머플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대한 짧은 길이로 배기 시스템을 만들어 저항을 줄이는 것이 고성능을 위한 방법이다. 하지만 배기가스는 유해 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운전자로부터 멀리 떨어져야 한다. 또 법률에 따라 각종 환경 규제에 대응하고 소음도 줄여야 한다.
머플러 튜닝의 필수과정 구조변경
머플러 튜닝을 위해선 합법적 절차를 거쳐 구조 변경 승인을 받아야 한다. 구조장치 변경 신청서, 변경 전 머플러 설계도면, 변경 후 머플러 설계도면, 외관 도면 등 총 7개의 서류를 준비해 교통안전 공단 자동차 검사소에서 신청 및 검사를 받아야 한다. 소음 측정 방법은 중립 기어에서 엔진의 최고출력 시의 75% 회전속도에서 4초 동안 배출되는 소음을 측정한다. 이때 최대 소음이 105dB을 넘지 않아야 한다. 간혹 구조 변경을 받아 머플러를 튜닝한 이후 순정 머플러로 다시 교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도 구조변경 승인을 받아야 한다. 머플러에 장착된 소음기를 제거한 후 구조변경을 받았다가 소음이 너무 커 소음기를 다시 장착해도 단속 대상이다. 라이더라면 머플러를 튜닝에 대해선 이해할 것이다. 하지만 필요 이상의 불법 개조는 자기 자신만 만족하는 기행일 뿐이다. 그 누구도 박수 쳐 주지 않는다. 바이크와 라이더 대한 인식 개선을 원한다면 법의 테두리 안에서 자유를 누리도록 하자.
글 조건희
본 기사를 블로그, 커뮤니티 홈페이지 등에 기사를 재편집하거나 출처를 밝히지 않을 경우, 그 책임을 묻게 되며 이에 따른 불이익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웹사이트 내 모든 컨텐츠의 소유는 모토라보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