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 체인지된 히말라얀 450을 온/오프로드 다양한 환경에서 경험해봤다.
/
뉴 히말라얀 450은 로얄엔필드 브랜드에 큰 변화를 가져올 모델이다. 전작인 히말라얀 411의 대성공을 이어받아 확고한 목적성과 완성도 높은 만듦새로 이전에는 없던 뚜렷한 가치를 제시한다. 특히 신형은 쿼터 클래스와 미들 클래스 어드벤처 사이에 독창적인 포지션으로 눈길을 사로잡는다. 풀모델 체인지를 거친 히말라얀 450은 한눈에도 덩치가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 모델에 비하면 전체 길이는 약 59mm 길어졌다. 헤드라이트부터 연료 탱크를 지나 탠덤 시트 리드까지, 전체적으로 볼륨감이 증가했다. 400cc 이하에서 흔하게 볼 수 없는 덩치다. 실제로 더 커진 차체는 휠베이스를 45mm 이상 증가시켰고, 동시에 연료 탱크도 2리터 이상 용량을 키웠다. 그런데도 무게는 약 18kg이나 줄어들었다(건조 기준).
신형의 디자인은 411의 클래식한 감성보다는 현대적이다. 프레임 앞부분은 이전처럼 독창적인 구조로 고유의 캐릭터를 강조한다. 연료 탱크 좌우를 보호하는 프레임 가드는 LED 타입 헤드라이트와 방향지시등을 고정하는 설계다. 안과 밖을 기능적으로 연결하는 똑똑한 설계다. 프레임 가드 안쪽에 작은 고리들을 배치해서 소프트 케리어를 장착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곡선으로 유연하게 빠진 프런트 펜더와 커다란 연료 탱크는 배기량에 비하면 한 사이즈 큰 느낌. 이전보다 개선된 조립 품질로 각 부품 사이가 깔끔하게 정리된다.
ㅡ
원형 TFT 계기반은 클래식한 느낌을 유지하면서도 시인성을 강화해 제품 경쟁력을 강화한다. 이 디지털 계기반 하나로 더 세련되고 현대적인 느낌으로 변했다. 왼쪽 컨트롤러 스위치 하단에 달린 조이스틱은 디지털 계기반 활용성을 높여준다. 조이스틱을 이용해 음악, 전화 등을 달리면서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계기반은 중심에 기어 단수와 속도를 표시하고 상단에는 엔진 회전수, 중심에 연료량을 배치했다. 주행 거리, 시계, 외부 온도 같은 정보를 간결하게 잘 정리한 디자인이다.
품질이 개선된 시트는 라이더와 텐덤자 모두에게 안락한 느낌을 선사한다. 시트 높이는 825, 845mm로 두 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옵션으로 준비된 랠리 시트(경계면이 없는 원피스 구조)는 라이더가 적극적으로 무게 중심을 이동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신형의 보디 컬러는 다섯 가지로 제공된다. 시승차는 카자 브라운 트림으로 베이지 컬러의 탱크로 밝고 산뜻한 분위기다. 트림에 따라서 기본 가격은 두 가지로 나뉜다. 스포크 휠에 튜브 타입 타이어는 669만 원, 캐스트 휠에 튜브 리스 타이어는 699만 원이다. 보디 컬러에 따라 타이어와 휠 타입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원하는 조합을 구성할 수는 없는 것은 아쉽다.
완전히 새로운 주행 능력
기능적인 측면에서 무엇보다 달리진 것은 주행 질감이다. 정확히 말해서 드라이브 트레인 전체의 감각이 월등하게 고급스러워졌다. 개선된 부분을 모두 다 설명할 수는 없지만, 눈에 띄게 달라진 것은 엔진 회전과 스로틀 반응이다. 452cc 셰르파 엔진은 부드러운 토크 곡선과 안정감 있는 진동이 매력적이다. 단기통 특유의 ‘통~통~’ 거리는 느낌을 바탕으로 묵직하게 회전한다. 특히 이 엔진은 히말라야 고산지대를 오르는 셰르파에게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것으로 산소가 희박한 해발 5,000미터에서도 출력을 안정적으로 뽑아내도록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에서는 이런 고지대를 주행할 일이 없다. 하지만 엔진의 한계 가동 범위가 그만큼 넓다는 것은 믿음직스러운 요소다. 연료 탱크 아래, 최대한 높은 위치에 흡기 장치를 달아서 깊은 강을 건너야 할 때도 무리가 없도록 설계했다.
엔진은 저회전에서는 편하고 차분한 감각이다. 일반적인 시내 주행에서 경험하는 5,000rpm 이하에서는 특별히 거슬리는 진동이나 소음이 없다. 좀 더 속도를 높이면 단기통 특유의 경쾌한 회전 질감으로 최대 8,000rpm까지 힘차게 회전한다. 수랭식 단기통 엔진은 이전 411 모델에 비해 피스톤 스트로크를 4.5mm 줄이고 보어를 6mm 늘렸다. 동시에 압축비도 11.5:1(이전9.5:1)로 높여서 회전력과 토크 모두를 상승시켰다. 그 결과 최고 출력은 40마력으로, 이전에 비해 고회전으로 특성이 바뀌었다.
히말라얀 450의 주행 모드는 네 가지다. ‘퍼포먼스’와 ‘에코’는 스로틀 반응에서 확연하게 차이가 있다. 여기에 각각 리어 휠 ABS를 비활성화시키는 오프로드 모드가 더해진다. 그 외에 특별한 전자제어 장비는 없다. 퀵 시프트나 힐 클라임 어시스트 같은 편의 장치는 지원하지 않는다. 이런 구성은 누군가에게 불편함일 수도 있겠지만, 반대로 히말라얀으로 모터사이클에 입문하는 라이더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모터사이클을 올바르게 제어하고 함께 호흡하는 방법을 제대로 배울 수 있는 셈이다. 실제로 히말라얀 450은 모터사이클에 경험이 부족한 라이더도 단번에 이해하기 쉽다. 저속이나 저회전 구간에서 엔진 반응은 부드럽고, 스로틀 레버를 강하게 비틀면 출력이 풍부하게 쏟아진다. 여기에 길어진 휠베이스, 더 커진 브레이크로 안정감이 한결 높아졌다.
가속력은 어느 한 부분이 돋보이는 것이 아니라 끝까지 일정한 느낌이다. 스로틀을 활짝 열면 초반부터 부드럽게 토크가 쏟아지다가 6,500rpm 이상부터 힘차게 레드존으로 속도가 오른다. 6단 변속기의 변속감은 정확했고, 주행 중 하체나 서스펜션에서 전해지는 소음은 잘 억제하고 있다. 시트 포지션은 허리를 많이 숙이지 않아도 공격적인 자세를 쉽게 잡을 수 있다. 풋 스텝, 브레이크 레버 등 모든 조작 기구 위치와 감각이 자연스럽다.
직선 구간이 끝나고 코너링을 시작할 때 움직임은 차분하다. 긴 휠베이스와 부드러운 서스펜션, 단단한 섀시가 조화를 이뤄 안정적으로 코너를 파고든다. 전자제어 장비에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라이딩 실력과 상관없이 뛰어난 균형 감각을 선사한다. 라이더가 시선을 돌려 코너링에 뛰어들 때 감각은 가볍지만 동시에 느긋하다. 코너링 과정 전체에서 어떤 특정한 부분이 거슬리지 않는다. 특정 주행 감각이 강한 모터사이클이 아니다. 종합적인 균형으로 편안함을 주는 세팅이어서 한계를 향해 과감하게 접근하기에 유리하다.
신형 히말라얀 450을 타고 도심과 고속 국도를 통과하며 경험한 온로드 주행 감각은 한마디로 ‘목표가 확실한 어드벤처’였다. 어드벤처 장르에 입문자, 특히 젊은 세대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오프로드 외에도 포장도로의 편의성을 추구할 방법을 연구하고 발전시킨 모습이다. 그런 관점에서 신형은 입문자 외에도 숙련된 라이더의 세컨드 모터사이클이 될 확장성을 강조하고 있다.
ㅡ
오너 인터뷰
박종민 (33세/자영업)
Q. 여러 입문자용 모터사이클 중에 히말라얀 450을 선택한 이유는?
A. 모터사이클 라이프에 입문하면서 첫 모터사이클 구입으로 장시간 고민이 많았습니다. 400cc 이하 쿼터급을 결정한 후 여러 브랜드 전시장을 다니며 비교했죠. 히말라얀 450, 트라이엄프 400X, BMW G310 GS 등이 좋은 선택지였어요. 특히 히말라얀 450은 크기와 스타일 측면에서 제가 원하는 모든 조건을 잘 갖추고 있었습니다. 디자인 측면에서는 모터사이클 고유의 모양과 라이더의 모습이 어울리는 것이 중요했든요. 저는 라이딩 부츠를 신었을 때 키가 188cm 정도여서 쿼터급에서도 덩치가 작은 모델은 어울리지 않아 보였어요. 동시에 제가 추구하는 클래식한 패션 무드에 히말라얀 450이 잘 어울리기도 했고요. 특히 신형은 전작에 비해서는 현대적인 디자인을 추구하면서도 레트로 무드가 남아 있어서 마음에 들었습니다.
Q. 히말라얀 시리즈 구형보다 신형이 더 마음에 드는 이유?
A. 만약 제가 입문자가 아닌 숙련자 입장에서 두 번째 모터사이클을 골랐다면 이전 히말라얀 411을 선택했을 수도 있을 거 같아요. 클래식한 디자인과 공랭식 엔진의 감성이 매력적인 모델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입문자 입장에는 당분간 하나의 모터사이클로 시내, 투어, 출퇴근 등 모든 곳에 활용하기에 내구성과 출력이 높아진 신형의 수랭 엔진이 더 적합해 보였어요. 특히 장거리 투어 시 출력부족으로 뒤처지기 싫거든요. 신형의 모던 클래식 디자인과 어울리는 새로운 풀 TFT 디스플레이 계기반, 원형 LED 헤드라이트도 기능성을 추구하고 있어서 마음에 들었습니다.
Q. 2025년 신모델 구입과 함께 로얄엔필드 브랜드에 기대하는 부분이라면?
A. 모터사이클 입문까지 그동안 관심을 가지고 본 세월이 약 15년. 로얄엔필드는 그동안 제가 쭉 지켜본 브랜드 중 하나였습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상당히 클래식한 스펙의 제품 라인업이었지만, 최근 출시된 히말라얀 450을 비롯해 게릴라 모델은 입문자 및 중급자에게도 아주 좋은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는 거 같아요. 또 참여하고 싶은 다양한 이벤트도 시선을 끕니다. 2월에 우연히 RSG에서 진행된 로얄엔필드 이벤트를 경험했는데요. 입문자인 저에게는 이런 소소한 이벤트가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주는 기회였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이벤트로 라이더와 함께하는 로얄엔필드를 기대합니다.
ROYAL ENFIELD HIMALAYAN 450
엔진형식 수랭 4스트로크 단기통 DOHC
보어×스트로크 84×81.5(mm)
배기량 452cc
압축비 11.5:1
최고출력 40마력/8,000rpm
최대토크 40.0Nm/5,500rpm
시동방식 셀프 스타터
연료 공급 방식 전자식 연료분사식(FI)
연료 탱크 용량 17ℓ
변속 방식 6단 리턴
서스펜션 (F) 텔레스코픽 도립 (R) 싱글쇽 스윙암
타이어 사이즈 (F)90/90-21 (R)140/80 R17
브레이크 (F)320mm, 싱글디스크 (R)270mm, 싱글디스크
전장×전폭×전고 2,245×852×1,316(mm)
휠베이스 1,510mm
시트 높이 825~845mm
건조 중량 181kg
판매 가격 669만 원~699만 원
글 김태영 모터칼럼니스트
사진 양현용
취재협조 로얄엔필드 코리아
본 기사 및 사진을 블로그, 커뮤니티 홈페이지 등에 기사를 재편집하여 업로드하는 것을 금합니다.
웹사이트 내 모든 컨텐츠의 저작권은 월간 모터바이크(모토라보)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