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기와 개성을 담은 스크램블러 혼다 CL500

    솔직히 별 기대를 하지 않았다. 레블 500을 기반으로 개발된 스크램블러라니. 차체와 엔진, 헤드라이트를 비롯해 곳곳에 공유하는 부품이 눈에 걸린다. 하지만, CL500은 겉핡기식 가지치기 모델일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스크램블러’라는 이미지와 성능을 진지하게 갖췄다.





    먼저 시승 차량의 경우, 혼다에서 마련한 순정 옵션 파츠가 대부분 장착되어 있었다. 헤드라이트를 감싸면서도 라이더에게 부는 바람을 막아주는 헤드라이트 바이저. LED 원형 헤드라이트와 단차 없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한층 더 고급스럽고 스포티한 분위기를 낸다. 추가로 장착된 프런트 업 펜더는 넓고 길게 앞으로 뻗어져 프런트에서 올라오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막아낼 뿐 아니라 오프로드 콘셉트를 강조한다. 사실, 타이어를 가까이에서 감싼 로우 펜더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디자인적 역할이 강하다. 마지막으로 전방에서 보이는 핸드 가드는 헤드라이트 바이저와 마찬가지로 바람에 의한 피로도를 줄여주기 위함인데 세 가지 파츠의 오프로드 무드와 통일된 컬러감이 CL500을 한층 더 고급스럽게 만든다.




    익숙한 듯 새롭다

    측면 디자인의 첫인상은 레블500이 떠오른다. 차체와 엔진, 연료 탱크 형상이 주는 느낌이 익숙하다. 하지만, 전후 19인치, 17인치 휠이 주는 경쾌한 느낌을 시작으로 높은 위치에 장착된 일자 시트, 사이드 넘버 플레이트, 업 스타일 머플러 등이 “왜 이래, 나 스크램블러야.”라고 방향성을 알려준다. 눈치를 챘겠지만, 사이드 넘버 플레이트도 혼다의 순정 옵션 파츠로 추가 장착된 제품이다. 머플러 위치가 상단에 걸리면서 훤히 드러난 스윙암 디자인이 출시 전부터 비난을 많이 받았다. 각목 스윙암이니, 부실하게 보인다느니, 원가절감이 아니냐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는데 실제 완성도는 크게 문제 삼을 정돈 아니다. 개인적으로는 원형 파이프 형태 디자인이 대각선으로 내려온 메인 프레임 라인과 통일감이 있어서 자연스럽다.


    신형 CL500에 큰 관심이 없다면 절대 알 수 없는 세 가지 옵션 파츠가 남았다. 브라운 시트와 리어 쇽 커버, 연료 탱크 패드도 혼다의 옵션 파츠다. 순정 대비 30mm 높은 일자 시트는 순정보다 더 매끈한 리어 디자인을 완성할 뿐 아니라 장시간 주행 시 더 편안한 착좌감을 제공한다. 리어 쇽커버의 경우 플라스틱 소재로 스프링 상단을 커버해 투박함을 억제했다. 마지막으로 연료 탱크 상단에 장착된 패드의 경우 혼다 옵션 파츠인데 철제 연료 탱크가 라이딩 재킷의 지퍼나 금속 소재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연료 탱크 좌우에 장착된 기본 패드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이질감이 없다.



    누구든 즐겁게

    도심에서 스로틀을 열고 달리는 순간 경쾌한 스로틀 반응과 빠른 가속에 깜짝 놀랐다. 471cc 병렬 트윈 엔진은 CB500 시리즈, 레블500에서 많이 경험했기 때문에 어떤 캐릭터를 가졌는지 알고 있다. 하지만, 비교적 높은 시트고와 CL500에 맞는 디튠으로 인해 예상보다 더 경쾌한 성능을 맛볼 수 있다. 레블500과 비교하자면 초중속 영역에서의 출력을 소폭 상승시켰고 CL500에 알맞은 흡배기 시스템을 적용했다. 또한, 리어 스프로킷을 40T에서 41T로 변경해 더 가벼운 필링을 제공한다. 변속 체결감도 우수해서 자꾸만 스로틀을 비틀고 속도를 높인다. 원형 계기반에는 rpm게이지가 없기 때문에 배기음과 속도, 손과 엉덩이로 전달되는 진동으로 변속 타이밍을 맞춰야 한다. 만만한 출력을 목 끝까지 써먹으려고 애쓰다 보면 레브 리밋에 닿기도 한다. 하지만, 그마저도 이 바이크가 재밌다고 느끼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다. 바이크가 기울어지는 감각도 가볍다.



    요즘 모터사이클이 대부분 그렇듯, 라이더의 의도대로 부드럽게 기울고 원하는 방향을 바라보면 그곳으로 향한다. 기다란 전후 서스펜션이 노면을 잘 붙들고 있기 때문에 깊은 뱅킹으로 몰아도 불안하지 않다. 개인차는 있겠지만, 듀얼 패턴 타이어가 장착되었다는 걸 망각할 정도로 신나게 와인딩 로드를 달렸다. 핸들 회전 각도도 부족하지 않기 때문에 좁은 길목이나 급하게 꺾인 골목길에서도 쉽게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최근 시장에 있는 타브랜드의 스크램블러와 비교하면 이보다 훨씬 고급스럽고 강력한 모델은 많다. 하지만, CL500의 가벼운 무게와 만만한 출력이 주는 재미는 초심자부터 숙련자까지 많은 범위의 라이더가 즐기기 좋다.


    오프로드 장난감

    도심에서 한참을 만족하며 달린 뒤 ‘과연 오프로드에서도 그럴까?’ 싶은 생각에 흙길로 들어섰다. 우선 풋 패그의 고무 패드는 필요에 따라 볼트를 풀어 제거할 수 있다. 흙과 물이 묻게 되면 쉽게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오프로드 주행을 예정한다면 미리 제거하는 게 좋다. 또한, 혼다 옵션 파츠로 마련된 랠리 스텝을 장착할 수도 있다. 평평한 시트 앞쪽에 바짝 붙어 앉으면 편안한 상체 포지션이 취해진다. 타이어가 가감속 상황에서 슬쩍슬쩍 미끄러지지만, 안정적인 무게 중심 덕분에 불안감은 적다. 또한, 신장 178cm의 라이더에게 부담 없는 시트고도 한몫을 한다.

    원형 LCD 계기반은 시인성이 좋고 기어 포지션, 속도, 시간, 연료 잔량 등의 다양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전달한다
    원형 LCD 계기반은 시인성이 좋고 기어 포지션, 속도, 시간, 연료 잔량 등의 다양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전달한다



    최저지상고는 레블500에 비해 30mm 높은 155mm를 확보했기 때문에 바위나 나무뿌리 같은 요철에 걸릴 걱정도 적다. 린 아웃 자세로 바이크를 눕혀 코너를 진입하고 팔꿈치를 치켜들고 스로틀을 열어 탈출하면 플랫 트래커 같은 재미도 있다. 현재 단종과 함께 중고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FTR 223의 매력이 이와 비슷하려나 싶다. 분명히 오프로드를 빠르게 달리기 위한 설계가 아님에도 차량 자체가 주는 매력이 분명하다. 전후에 2채널 ABS가 기본 적용되어 있는데 리어 ABS를 해제할 수 없다는 건 아쉽다. 만약 가능하다면 리어 슬라이드나 베어 턴 같은 스킬들을 연습하기 좋을 것 같다. 그만큼 바이크가 내 뜻대로 쉽게 움직이고 도전 욕구를 높인다는 뜻이다.


    나만의 스타일

    도심을 휘젓고 오프로드를 신나게 달리고 카페에 앉았다. CL500을 바라보면 튜닝 욕구가 샘솟는다. 어디 하나 과장되지 않은 만큼 이곳저곳에 튜닝 아이디어가 연속된다. 스크램블러라고 해서 항상 업 펜더가 있어야 하는 것도 아니고 핸드 가드나 넘버 플레이트가 꼭 레이스 무드를 내는 것도 아니다. 자신 생각하는 스크램블러의 이미지로 얼마나 쉽게 만들 수 있느냐가 더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CL500은 그 자유도가 꽤 높다. 순정 옵션파츠와 형제 모델인 레블500의 튜닝 파츠 대부분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개발 당시부터 연료 탱크 하단부와 시트로 이어지는 연결부를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디자인하여 약간의 디자인 변화로도 완전히 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AA바이크

    CL 500은 성능은 물론 스타일까지 만족스러웠다. 그리고 ‘Express Yourself’라는 개발 슬로건과 함께 자기 자신을 완벽히 표현할 수 있는 모터사이클이다. 새하얀 백지처럼 자신의 컬러, 분위기, 스타일, 방향성 등 어떤 것이든지 담아낼 수 있다.

    HONDA CL500
    엔진형식 수랭 병렬 2기통
    보어×스트로크 67 × 66.8(mm)
    배기량 471cc
    압축비 10.7 : 1
    최고출력 46.6hp / 8,500rpm
    최대토크 43.1Nm / 6,250rpm
    시동방식 셀프 스타터
    연료공급방식 전자제어 연료분사식(FI)
    연료탱크용량 12ℓ
    변속기 6단 리턴
    서스펜션 (F)41mm정립 (R)트윈 쇽 스윙암
    타이어사이즈 (F)110/80 19 (R)150/70 17
    브레이크 (F)310mm싱글디스크 (R)240mm싱글디스크
    전장×전폭×전고 2,175×780×1,135(mm)
    휠베이스 1,485mm
    시트높이 790mm
    차량중량 195kg
    판매가격 932만 원



    윤연수
    사진 양현용,손호준
    취재협조 혼다코리아 hondakorea.co.kr

    본 기사를 블로그, 커뮤니티 홈페이지 등에 기사를 재편집하거나 출처를 밝히지 않을 경우, 그 책임을 묻게 되며 이에 따른 불이익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웹사이트 내 모든 컨텐츠의 소유는 모토라보에 있습니다.

    지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