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질문은 월간 모터바이크가 무려 20년 전에 라이더 여러분께 던졌던 질문입니다. 당시의 질문을 다시 한 번 여러분께 드립니다.

 

 왜 바이크를 좋아하고 타세요?

Vol. 1

20년 전 월간 모터바이크는 창간호를 출간하며 독자 여러분께 이런 질문을 했습니다.

왜 바이크를 좋아하게 되었는지, 왜 바이크를 타게 되었는지

 

사연을 보내주신 분들께 일일이 유선전화를 통해 ‘직격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기사의 전문에 창간에 앞서 바이크 전문 잡지로서 모터바이크가 알아야 할 가장 기본적인 것이 무엇인가를 위해 독자 여러분께 직접 물어본다고 밝히며 말이죠.

2018년의 모터바이크가 여러분께 물어봤습니다. 20년 전의 질의응답과 비교하기 위해 기본적인 질문은 동일하게 진행했고 상황에 따라 일부 선택지는 수정했습니다.

 


1. 바이크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1998년
영상매체 21% /지인 48% /가족 17% /길에서 우연히 9% /기타 5%
2018년
온라인 매체 7% /방송 및 영화 11% /지인 33% /길가에서 우연히 20% /기타 29%

 

라이더들이 바이크를 알게 된 계기는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다양했다. 당시 가장 높은 비율을 지인(친구 및 선후배)으로 절반에 육박하는 48%를 차지했다. 당시에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루트가 다양하지 않아 직접적인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바이크를 알았다. 대부분 바이크가 있는 친구나 선후배를 따라다니며 ‘나 한번 타보면 안 돼?’라는 애원조의 말을 하며 어떻게 하면 한 번이라도 바이크에 앉아볼까 기회를 엿보았다고···.

물론 현재도 지인을 통해 바이크를 알게 된 경우가 3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아직까지도 친구나 선후배를 통해 바이크 라이프가 전파되는 경우가 많은데 눈길을 끄는 건 기타 의견의 비율이 29%로 꽤 높다는 점. 기타 의견을 살펴보니 자전거(로드/MTB)를 타다가 다른 유형의 2륜을 즐기기 위해 또는 편하게 레저를 즐기고 싶어서라는 의견이 있었고(3%), 여행지에서 스쿠터를 렌트했다가 그 이후로 바이크의 매력에 빠졌다(3%)는 대답도 흥미를 끌었다. 바이크 잡지를 보다가 흥미를 갖게 되었다는 답변도 빠지지 않았다.

2. 바이크의 장점은?

1998년
신속성 18% /편리성 20% /실용성 17% /경제성 8% /기타 37%
2018년
신속성 19% /실용성 17% /경제성 7% /레저 36% /기타 21%

 

이 질문은 바이크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가장 자신 있게 대답했던 부분으로 얼마나 장점이 많은지 설명을 해도 해도 모자를 정도였다. 20년 전에는 편리성(20%)과 신속성(18%) 그리고 실용성(17%) 순으로 일반적인 환경에 있어 편리함으로 주차 공간에 대한 제약이 적고, 어디든 갈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신속성으로는 바이크 그 자체의 성격인 좁은 공간도 쉽게 갈수 있어 빠르다, 실제로 빠르게 간다를 꼽았다.

지금은 어떨까. 요즘도 신속성(19%)과 실용성(17%) 등 바이크 그 자체로서의 장점을 선택한 비율은 비슷했다. 가장 눈길을 끄는 포인트는 레저(36%)를 선택했다는 점이다. 라이더들이 바이크의 장점으로 취미를 즐기는 목적이 가능하다는 점을 꼽은 것은 점차 선진국형 이륜차 시장에 근접해 가고 있음을 나타낸다.

 

3. 바이크의 사용 용도는?

1998년
출퇴근용 11% /투어링 28% /통학 19% /근거리 이용 36% /기타 6%
2018년
주말 레저 36% /일상생활 42% /통근 및 통학 15% /배달 및 영업 2% /기타 5%

 

바이크의 장점과 연계해서 파악해 볼 수 있는 질문이다. 과거의 질문과 기사에 따르면 생활 패턴과 직업에 따라 바이크 운용 목적을 파악할 수 있었다고 한다. 가장 높은 답변이었던 근거리 이용(36%)에 답했던 사람은 자영업이나 농업 등 이륜차를 생업을 위해 사용해야 하는 즉, 바이크가 경제활동의 수단인 사람들이었다. 

반면 현재의 답변은 일상생활(42%)에 이어 주말 레저 (36%) 이용 목적의 라이더의 높았다. 일상생활을 위해 사용한다고 답변한 라이더에게 상세 이유를 묻자 신속하고 편리해 대중교통이나 자동차 대신 바이크를 운용하는 편이며 실제로 시간이 날 때마다 투어를 즐기기에 바이크는 일상이나 다름없다고 답변했다.

주말 레저를 답변한 라이더에게 동일한 질문을 하니 바이크를 타고 출퇴근도 하고 싶은데 회사에서 좋지 않은 시각으로 바라봐 주말 투어만 즐긴다며 답변했다. 이 밖에도 배달 및 영업(2%)의 비율은 현저하게 적었는데 기타 의견을 확인해보니 레저용으로 사용하면서도 배달이나 영업에 쓰기도 한다는 답변이 있어 실제 비율을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기회가 되면 더욱 세분화된 질문을 해보고 싶다.

 

4. 선호하는 바이크 유형

1998년
네이키드 49% /레플리카 23% /아메리칸 19% /스쿠터 2% /기타 7%
2018년
네이키드 26% /레플리카 14% /아메리칸 4% /스쿠터 13% /투어러 2% /클래식 11% /어드벤처 23% /오프로드 2%

 

과거의 질문에서 좀 더 세분화된 질문을 하기 위해 장르 구분을 넓혔다. 과거와 확연하게 다양한 장르 선택이 이뤄지고 있어 새삼 놀랍다. 과거에는 네이키드(49%)가 절반 가까운 선택을 받았고 뒤이어 레플리카(23%)가 손꼽히며 98년도 라이더들은 네이키드나 레플리카를 선호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기사에 따르면 유선 질의응답에서 혼다 CB400과 야마하 FZ400의 인기가 무척 높았다고 하며 이어 많은 라이더들이 멋의 기준으로 삼았던 바이크는 영화 <비트>에서 나온 CBR600F라고 했다.

2018년의 응답에서 역시 네이키드(26%)의 비율이 가장 높으나 2위는 레플리카(14%)가 아닌 어드벤처(23%)가 차지하며 선호도가 크게 바뀌었음을 한눈에 볼 수 있었다. 또한 클래식이 11%를 차지하며 최근의 모터바이크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5. 바이크를 즐기는 방법

2018년
와인딩 공략 16% /고속주행 9% /여유로운 크루즈 40% /어드벤처 투어 19% /기타 16%

 

바이크를 즐기는 방법은 신설된 항목으로 라이더들이 어떻게 바이크를 즐기고 있는지 확인해 보기 위해 진행했다.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여유로운 크루즈(40%)로 느긋하면서도 여유롭게 바이크 그 자체를 온몸으로 느끼는 게 좋다는 답변과 온몸으로 바람을 맞는 것이 세상 즐겁다, 천천히 자연을 즐기는 게 행복하다는 답변이 이어졌다.

바이크 장르 선호 질문에서 어드벤처 장르의 선호도를 반영하듯 어드벤처 투어도 19%로 예상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기타 의견으로는 브랜드 원메이크 레이스 도전하기, 서킷 어택, 트랙 등 공도가 아닌 서킷에서 즐긴다는 의견도 다수 포함된 점이 눈길을 끈다.

 

6. 누구와 바이크를 타시나요?

2018년
혼자서 43% /친구와 단둘이 11% /다섯 이하의 소그룹 투어 26% /동호회 단위 투어 7% /기타 13%

 

바이크를 즐기는 방법과 연계된 질문으로 누구와 바이크를 타는지 물었다. 개인적으로는 다섯 이하의 소그룹 투어가 가장 많을 줄 알았는데 26%로 2위를 차지했고 ‘혼자서’가 43%로 압도적이었다. 이유를 묻자 다른 사람과 함께 있으면 왠지 방해된다, 바이크 그 자체를 온전히 즐기고 싶다 등의 대답을 했다. 기타 의견 비율이 생각보다 높았는데 그중 탠더머와 함께 투어를 즐긴다는 의견이 4%인 게 눈길을 끌었다.

 

7. 바이크 구매 방법은?

1998년
생활정보지 21% /친구가 타던 바이크 29% /가족이 타던 바이크 26% /바이크 업소 17% /기타 7%
2018년
중고거래 사이트 35% /동호회 장터 10% /브랜드 매장 32% /친구 및 선후배 4% /동네 센터 8% /기타 11%

 

당시에는 생활 정보지를 통해 바이크를 구매하는 비율이 21%, 친구가 타던 바이크 29%, 가족이 타던 바이크 26%로 다소 아날로그적인 방법이 주를 이뤘다. 아무래도 공식 브랜드 매장이 변변치 않았던 시절이니 이해가 간다.

시간이 흘러 요즘에는 각 대형 브랜드 매장을 전보다 쉽게 찾을 수 있고 시설도 좋아 매장에서 구매한다는 비율이 32%로 높아진 건 괄목할 만하다. 가장 높은 건 중고거래 사이트(35%)였다. 한 답변자는 실제로 중고 거래 사이트를 통해 직거래를 하기도 하지만 온라인 쇼핑하듯 관심을 두고 서핑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좋다는 답변을 했다.

 

8. 바이크 구입 시 가장 중점을 두었던 부분

1998년
구매 비용 32% /선호 기종 20% /매장 직원의 조언 12% /배기량의 크기 17% /기타 19%
2018년
구매 비용 20% /선호 기종 70% /매장 직원의 조언 1% /배기량의 크기 2% /기타 7%

 

이 질문은 과거나 현재가 연령별로 확실한 차이가 있었다. 다소 경제력이 떨어지는 20~30대의 경우는 구매 비용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고 30대 이상의 답변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기종 선택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과거와 큰 차이점을 보이는 것은 선호 기종 선택이 무려 70%에 이르며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고르려는 성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매장 직원의 조언은 12%에서 1%로 감소했는데 이는 과거에 비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해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기타 의견으로 발착지성을 가장 중요하게 본다고 답변한 현실적인 라이더도 있었다. 발 착지성은 실제로 구매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구매를 위해 매장을 방문한 후 뒤늦게 기종을 바꾸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2편으로 이어집니다>

 


 

credit

   이민우

 

본 기사를 블로그, 커뮤니티 홈페이지 등에 기사를 재편집하거나 출처를 밝히지 않을 경우, 그 책임을 묻게 되며 이에 따른 불이익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웹사이트 내 모든 컨텐츠의 소유는 모토라보에 있습니다.

 

- Advertisement -